어떤 낚시대를 골라야 할까
처음 낚시에 입문하거나 새로운
장르의 낚시를 하려고 할 때
내가 가지고 있던 낚싯대로는 할 수 없나?
라는 생각들 가져 보셨을 거 같습니다.
원투 낚싯대로 찌낚시를 할 수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것을 기준으로 낚싯대를
골라야 하는지 설명해 보겠습니다.
1. 낚싯대는 원줄을 탄다.
찌낚시에서는 두꺼운 원줄보다는
얇은 원줄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구멍찌도 그렇지만 미끼의
유연함도 있습니다.
찌 낚싯대는 다른 낚싯대 보다 길고
유연한 것을 많이 사용하는데
530 1호대를 많이 사용하며
얇은 원줄을 사용해야 하는 낚시일수록
길고 유연한 낚싯대를 사용하는 것이
원줄이 터지는 것을 방지해 주기 때문입니다.
원줄을 보호해야 하기에 찌 낚싯대는
릴 가이드도 많은데 릴 가이드가 많을수록
원줄에 오는 대미지가 줄기 때문이죠.
2. 연질대 보다 경질대가 물고기를 더욱
빠르게 낚을 수 있다.
작은 물고기는 경질대던 연질 대던
제압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4자 이상의 물고기들을 제압할 때는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길고 연질 대일 수록
물고기를 물밖로 끌어내는 게 어려워집니다.
그 이유는 낚싯대가 길어서 물고기의 활동
범위가 넓어지고 연질 대일 수록 내가 낚싯대에
주는 힘이 반감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낚싯대가 길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드셨을 텐데 그건 아닙니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같은 채비일 때
큰 물고기일수록 긴 낚싯대가 시간은
걸리더라도 더 안전하게 물고기를
물 밖으로 끌어낼 수 있는 것이죠.
3. 저 탄성 낚싯대와 고탄성 낚싯대
일단 카본은 24톤 30톤 40톤 50톤 64톤
으로 나뉘게 되는데 고탄성의 카본일수록
낚싯대의 가격이 비싸집니다.
50톤과 64톤으로 만드는 낚싯대는
거의 없는데 너무 약해서 챔질을 쌔게 하거나
큰 물고기를 잡는다면 부러질 확률이
너무 높아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낚싯대는 한 가지 카본으로 만들어
지지 않고 제작되는 낚싯대에 여러 가지
카본을 조합해서 가능한 최고의 강도로
만들어지며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고탄성 낚싯대일수록 부러질 확률이
더 높다는 것입니다.
카본의 톤수가 높을수록 복원력이 높아서
더 안 부러지고 강한 것 아니냐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카본은 톤수가 올라갈수록 복원력 즉 낚싯대의
휘어짐은 늘어나지만 강도는 약해집니다.
그래서 낚싯대를 제작할 때 고탄성의 카본은
여러 번 감아주어서 강도를 올려주는 것입니다.
4. 초보자는 어떤 낚싯대를 사용해야 할까?
낚시를 오래 했더라도 내가 처음 해보는
낚시 장르에 도전한다면 처음부터 고탄성에
비싼 낚싯대를 사용하기보다는
중저가의 낚싯대를 사용해서 감을 익히고
고급대로 넘어가는 게 좋겠는데 찌낚시를
예로 들어 처음에는 500 1호대나 500 1.5호
를 처음에 사용해 보시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530대 1호보다 500 1호 대가 좀 더 경질대이며
원투 낚시에서도 말씀드렸지만 대가 길수록
컨트롤하기 어려워지며 작은 물고기는 괜찮지만
큰 물고기를 걸었을 때 낚싯대를 부러트릴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중저가에 조금은 짧은
낚싯대를 사용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멍찌 종류 1 / 구멍찌를 알아보자 (0) | 2022.11.29 |
---|---|
찌낚시 막대찌와 구멍찌 어떤게 더 유리할까? (0) | 2022.11.27 |
바다 낚시 목줄 고르는 방법 / 목줄 이해하기 (0) | 2022.11.25 |
바다낚시원줄 종류 및 장단점 / 바다낚시 원줄의 모든것 (0) | 2022.11.24 |
부산 찌낚시 포인트 / 부산 방어 갈치 삼치 낚시 하는 방법 (0) | 2022.11.23 |